015. テレビがなくなってて。
1. 문장 분석
(清美) どうしました?
무슨일 있어요?
(中本) あの 406号室に 清掃1に入ったんですけど テレビがなくなってて2。
406호실에 갔더니 텔레비전이 없어졌어요.
(清美) えっ テレビ?
에? 테레비?
(中本) はい 丸山さんの部屋3です。
네. 마루야마씨 방이에요.
(中本) 今までも アメニティ4とか タオル5とか よく持ち帰ってたみたいですけど。
지금까지 아메니티나 타올 같은거 자주 가져갔던거 같아요.
(清美) テレビは ちょっと レベルが違います6もんね。
텔레비는 좀 레벨이 다르죠.
(中本) そうですね。
그렇죠.
(清美) え~ 丸山さん 今日 どんなカバン7だったかなぁ…。
에~ 마루야마씨 오늘 어떤 가방이었을까…
(清美) うわ~ 入ってそうですね。
우와.. 들어갈 것 같네요.
(中本) ですよね。
그렇죠?
(清美) 連絡して8 戻ってきてもらいましょうか。
연락해서 돌아오라고 할까요?
(中本) あっ 本人に?
아. 본인에게요?
(清美) そう。 何か別の用件9つくって10 で11 その隙に12車を確認13して…。
네. 다른 용건을 만들어서 그 틈에 차를 확인하고…
(中本) いや 仮に14戻ってくるとしても 多分 テレビは どっかに15置いてきてますよね?
아니. 만약 돌아온다고 해도 아마 텔레비전은 어딘가에 두고 오겠죠.
(清美) あ~ そっか。
아.. 그렇죠.
(中本) それで 知らないって言われたら もう それ以上16 言いよう17がなくないですか18?
그렇게 해서 모른다고 말하면, 더 이상 말할 방법이 없지 않나요?
(中本) 証拠がないから。
증거가 없으니까
(清美) 確かに19 持って帰るのを 見たわけじゃない20ですからね。
확실히 가져가는 걸 본 건 아니니까요.
2. 문법 포인트
清掃に入ったんですけど : “청소하러 들어갔는데”
清掃に入る → “청소하러 들어가다”
んですけど → 설명을 덧붙이거나 배경을 설명하는 표현
とか
나열할 때 사용되며, 여러 가지 예시를 들 때 쓰이는 표현이다.
예를 들어, 「パンとかケーキとか」(빵이나 케이크 같은 것들)처럼 사용된다.
持ち帰ってたみたいですけど : “가져갔던 것 같아요”
持ち帰る (もちかえる, mochikaeru) : 가져가다, 가져오다
てた → “ていた”의 구어체 줄임말로, 과거에 계속 반복된 동작을 나타냄
みたいですけど → “같아요, 그런 것 같아요” (추측을 나타내는 표현)
もんね
“그렇죠” (사실을 재확인하는 표현, 주로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을 강조)
だったかなぁ : “였을까” (과거를 회상하며 추측하는 표현)
だった → “이다”의 과거형 (명사 + 과거형)
かなぁ → “일까” (자신의 추측이나 궁금증을 나타낼 때 사용)
入ってそう : “들어 있을 것 같아요, 들어갈 것 같아요”
入って (はって, haitte) : “들어가다”의 て형, 여기서는 무언가가 들어 있는 상태를 나타냄
そう (そう, sou) : “그럴 것 같다” (추측을 나타내는 표현, ~일 것 같다)
入って와 入る(들어가다)의 관계 때문에 들어갈 것 같다로도 해석된다.
戻ってきて (돌아오다)의 て형 + もらう (받다) + ましょうか
戻ってきて는 “돌아와서”라는 의미
もらう는 누군가에게 무엇을 시키다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ましょうか는 제안하거나 물어보는 표현으로, “할까요?” 또는 “하겠습니다?”와 같은 의미입니다.
戻ってくるとしても (もどってくるとしても)
“돌아온다고 해도”
戻ってくる (돌아오다)의 て형 + も는 어떤 가정이나 상황이 되더라도라는 의미입니다.
置いてきてますよね (おいてきてますよね) → “두고 왔겠죠?”
置いてくる (두고 가다)의 て형 + きている는 어디에 두고 왔다는 의미로, 완료된 행동을 나타냅니다.
よね는 확신을 묻거나 동의를 구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知らないって言われたら (しらないっていわれたら) → “모른다고 말하면”
知らない (모른다)는 동사의 부정형으로, 모른다는 의미입니다.
って는 인용을 나타내는 조사로, “라고” 또는 “라고 말하다”라는 뜻입니다.
言われたら (いわれたら, iwaretara)는 言う(말하다)의 수동형인 言われる의 조건형입니다. 즉, “말해지면” 또는 “말하게 되면”이라는 의미입니다.
3. 주요 단어
清掃 (せいそう, seisou) : 청소 ↩︎
なくなる (なくなる, nakunaru) : 없어지다, 사라지다 なくなってて :「なくなっていて」의 구어체 형태 (없어져 있었음) ↩︎
部屋 (へや, heya) : 방 ↩︎
アメニティ (あめにてぃ, ameniti) : 아메니티 (호텔 등에서 제공하는 편의 용품) ↩︎
タオル (たおる, taoru) : 타올 ↩︎
違います (ちがいます, chigaimasu) : 다릅니다 (차이가 있다) ↩︎
カバン (かばん, kaban) : 가방 ↩︎
連絡して (れんらくして, renraku shite) : “연락해서” ↩︎
何か別の用件 (なにかべつのようけん, nanika betsu no youken) → “다른 용건”
- 何か (なにか, nanika) : “무언가”, “어떤 것”을 뜻합니다.
- 別の (べつの, betsu no) : “다른”, “별도의”라는 뜻입니다.
- 用件 (ようけん, youken) : 용건, 할 일, 필요한 일.
つくって → “만들고”
- つくる(만들다)의 て형으로, 동작이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で → “그리고” 또는 “그렇게 해서” ↩︎
その隙に (そのすきに, sono suki ni) → “그 틈에”
- 隙 (すき, suki) : 틈, 여유, 기회.
- に는 목적지나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로, “그 틈에”라는 의미입니다.
確認する (かくにんする, kakunin suru) : 확인하다 ↩︎
仮に (かりに, karini) → “만약” ↩︎
どっかに (どっかに, dokka ni) → “어딘가에”
- どっか는 어디라는 의미로, 어딘가에나 어디에를 뜻합니다.
それ以上 (それいじょう, sore ijou) : 그 이상 ↩︎
言いよう (いいよう, iiyou) : 말할 방법 ↩︎
なくないですか (なくないですか, nakunai desu ka) : 없지 않나요? ↩︎
確かに (たしかに, tashika ni) → “확실히” ↩︎
わけじゃない : 이유가 아니다, 사실이 아니다 ↩︎